티스토리 뷰
목차
서울 도심 속에 있는 선릉, 정릉은 어떤 왕의 능인지 아시나요? 가까운 일상 속에 있는 능인데, 어떤 왕과 왕비의 능인지 모르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, 조선왕릉에 대해 조금이라도 확인해 보고 문화유산답사를 해 보시는 건 어떠세요?
조선왕조 (1392 - 1910)는 태조부터 마지막 순종에 이르기까지 519년간 이어져 왔으며, 왕릉은 왕위에 올랐던 27명의 왕과 그 왕비, 그리고 사후 추존된 왕과 왕비가 묻힌 총 42기의 왕릉이 있습니다. 그중 2기는 북한에 위치하고 있으며, 40기는 대한민국에는 있습니다
※원,묘까지 포함하면 총 118기
조선왕릉의 형태
왕릉 문화답사를 해 분이라면 왕릉의 형태가 조금씩 다른 걸 보셨을겁니다. 조선왕릉의 형태는 총 6종류로 왕과 왕비가 단독으로 능을 조성하는가, 나란히 하는가, 한 능에 하는가 등 왕과 왕비의 능을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따라 형태가 달라집니다
○ 단릉: 왕, 왕비의 능을 단독으로 조성한 능
○ 쌍릉: 왕과 왕비의 능침을 나란히 조성한 능
○ 합장릉: 왕과 왕비를 한 능에 합장한 능
○ 동원이강릉: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능
○ 동원상하릉: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능침을 위아래로 조성한 능
○ 삼연릉: 왕과 두 명의 왕비의 능침을 나란히 조성한 능
구리 동구릉
○건원릉(健元陵) :1대 태조 (능의 형태: 단릉)
○현릉(顯陵) : 5대 문종과 현덕왕후 (능의 형태: 동원이강릉)
○목릉(穆陵) : 14대 선조와 의인왕후 ·인목왕후 (능의 형태: 동원이강릉)
○휘릉(徽陵) : 16대 인조비 장렬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○숭릉(崇陵) :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(능의 형태: 쌍릉)
○혜릉(惠陵) : 20대 경종비 단의 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○원릉(元陵) : 21대 영조와 정순왕후 (능의 형태: 쌍릉)
○수릉(綏陵) : 추존문조와 신정왕후 (능의 형태: 합장릉)
○경릉(景陵) : 24대 현종과 효현왕후·효정왕후 (능의 형태: 삼연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서울 헌릉과 인릉
○헌릉(獻陵) : 3대 태종과 원경왕후 (능의 형태: 쌍릉)
○인릉(仁陵) : 23대 순조와 순원황후 (능의 형태: 합장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여주 영릉과 영릉
○영릉(英陵) : 4대 세종과 소헌왕후 (능의 형태: 합장릉)
○영릉(寧陵) : 17대 효종과 인선왕후 (능의 형태: 동원상하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영월 장릉
○장릉(莊陵) : 6대 단종 (능의 형태: 단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남양주 광릉
○광릉(光陵) : 7대 세조와 정희왕후 (능의 형태:동원이강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고양 서오릉
○경릉(敬陵) : 추존 덕종*과 소혜왕후 (능의 형태: 동원이강릉)
○창릉(昌陵) : 8대 예종과 안순왕후 (능의 형태: 동원이강릉)
○명릉(明陵) : 19대 숙종과 인현왕후·인원왕후 (능의 형태:동원이강릉)
○익릉(翼陵) : 19대 숙종비 인경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○홍릉(弘陵) : 21대 영조비 정성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*세조의 아들이며, 성종의 아버지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서울 선릉과 정릉
○선릉(宣陵) : 9대 성종과 정현왕후 (능의 형태: 동원이강릉)
○정릉(靖陵) :11대 중종 (능의 형태: 단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고양 서삼릉
○희릉(禧陵) : 11대 중종비 장경왕후 (능의 형태:단릉)
○효릉(孝陵) : 12대 인종과 인성왕후 (능의 형태: 쌍릉)
○예릉(睿陵) : 25대 철종과 철인왕후 (능의 형태: 쌍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서울 태릉과 강릉
○태릉(泰陵) : 11대 중종비 문정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○강릉(康陵) : 13대 명종과 인순왕후 (능의 형태: 쌍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김포 장릉
○장릉(章陵) : 추존 원종*과 인헌왕후 (능의 형태: 쌍릉)
*선조의 5남. 인조의 아버지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파주 장릉
○장릉(長陵) : 16대 인조와 인열왕후 (능의 형태: 합장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서울 의릉
○의릉(懿陵) : 20대 경종과 선의 왕후 (능의 형태: 동원상하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파주 삼릉
○공릉(恭陵) : 8대 예종비 장순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○순릉(順陵) : 9대 성봉비 공혜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○영릉(永陵) : 추존 진종과 효순왕후 (능의 형태: 쌍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화성 융릉과 건릉
○융릉(隆陵) : 추존 장조*와 헌경왕후 (능의 형태: 합장릉)
○건릉(健陵) : 22대 정조와 효의왕후 (능의 형태: 합장릉)
*사도세자 또는 장헌세자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남양주 홍릉과 유릉
○홍릉(洪陵) : 대한제국 1대 고종과 명성왕후 (능의 형태: 합장릉)
○유릉(裕陵) : 대한제국 2대 순종과 순명왕후·순정왕후 (능의 형태: 합장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서울 정릉
○정릉(貞陵) : 1대 태조비 신덕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남양주 사릉
○사릉(思陵) : 6대 단종비 신덕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양주 온릉
○온릉(溫陵) : 11대 중종비 단경왕후 (능의 형태: 단릉)
◆가는 길 ▶️확인하기
북한소재 제릉과 후릉
○제릉(齊陵) : 조선 1대 태조의 첫 번째 왕비 신의 황후 한 씨의 능 (능의 형태: 단릉)
○후릉(厚陵) : 2대 정종과 정안황후 김 씨의 능 (능의 형태: 쌍릉)
<자료출처>
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
https://royal.khs.go.kr